본문 바로가기
전문지식

경제학의 개요, 주요분야, 정의 및 경제사상의 역사, 경제이론의 구분 및 경제를 보는 시각

by Emily h 2024. 3. 28.

경제학의 개요 

경제학의 개요로는 희소성의 법칙(law of scarcity)에 의하면 인간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켜 줄 경제적 자원은 상대적을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사람들은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관련된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즉, 경제학은 자원의 희소성으로 발생하는 선택적 문제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분야입니다.

경제학의 개요 썸네일

경제학의 주요 분야

경제학의 주요 분야는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경제문제를 명쾌하게 해명하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주요 관심사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재화의 생산, 교환 소비 등과 관련된 선택의 문제가 경제학의 주요 분석대상이었으나 최근 들어 정치(공공선택), 범죄, 자녀출산, 스포츠 등의 분야까지 연구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제학의 정의

경제학의 정의는 초반 용어로는 정치경제였으며 지금의 경제학은 19세기 후반부터 불려지고 있습니다.

현재 경제학은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었지만 진화론과 같은 주제는 다른 견해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스코틀랜드 철학자 아담 스미스는 정치경제를 국가부의 본질과 원인에 관한 조사라고 정의했습니다.

 

경제사상의 역사

경제사상의 역사로는 고대 생리학자, 전통 정치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 신고전학파 경제학이 있습니다. 

 

1) 고대 생리학자

자원의 분배에 관한 질문은 보이오트 저자 헤시오도스의 글 곳곳에서 발견되며 몇몇 경제학자들은 최초의 경제학자라고 표현했습니다. 

경제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의 오이코스라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표준적 사회 자원 분배 시스템이 아니라 가정, 즉 토지 소유자, 가족, 노예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문제로 사용되었습니다. 

 

중상주의 전성기 시대의 상인주의자와 생리학자는 경제 민주주의와 근대 자본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8세기 프랑스 사상가와 생리학자들은 경제는 수입과 지출의 선순환의 흐름으로 발전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생리학자들은 농업 생산은 이익을 창출하기 때문에 농업만이 모든 부의 기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들은 농업을 희생시키는 무역과 제조업을 주장하는 상인주의 정책을 반대했습니다. 그리고 생리학자들은 행정비용이 많이 드는 세금을 지주의 소득에 단일세금으로 대체부과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부는 경제에 최소한 개입을 해야 한다는 자유방임정책을 옹호했습니다.

초기 경제이론가인 아담스미스(1723-1790)는 중상주의를 주장하는 생리학적인 시스템을 비판했습니다.

 

 

2) 전통 정치경제학

1776년에 출간된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은 경제사상의 지표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국부론은 토지, 노동, 자본의 생산의 3요소를 부의 기여자로 보고 있습니다.

아담스미스는 시장경제체계하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인 가격기구에 의하여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가능하므로 정부의 역할은 치안, 국방 등 최소한에 머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값싼 정부(cheap government)를 주장하였습니다.

모든 개인은 공익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사회의 이익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합니다.

 

토마스 로버트 맬서스 목사(1798년) 수확체감 법칙을 이용하여 인구의 기하급수적 증가는 식량생산을 능가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토지의 제한된 양은 급격한 인구 증가로 노동의 수확체감을 의미했습니다.

 

데이비드 리카도(1817년)는 토지 소유자, 노동자, 자본가 사이의 소득분배를 연구하였습니다. 급증하는 인구와 자본은 토지의 고정공급으로 임대료를 높여 토지 소유자는 부를 이루고, 노동자의 임금과 이윤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자국 생산보다는 상대적 생산비용이 낮은 수출을 증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존 스튜어트 밀(1848년) 시장은 자원할당에는 효율적인 목표를 이룰 수 있지만 소득분배는 이루기에는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개입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3)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은 고전 경제학에 기반을 두고 탄생되었고, 첫 번째 작품으로 《Das Kapital》이 1867년에 출판되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가치 노동 이론과 잉여 가치 이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가치 노동이론은 교환 상품의 가치는 상품을 생산하는데 들어간 노동으로 결정되고, 잉여 가치 이론은 노동자가 제공한 노동이 어떻게 창출된 가치를 받는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 것입니다.

마르크스 경제이론은 여러 경제학자들이 영감을 받아 여러 이론을 발표하여 더욱 발전했습니다.

 

 

4) 신고전학파 경제학

신고전학파 경제학은 장 밥티스트 세이가 1803년에 발간한 《 부의 생산, 분배, 소비 》에 관한 논문이 대표하였으며 이 논문을 기반으로 라이오넬 로빈스는 인간의 활동 영역을 경제학의 본질과 중요성에 접목한 에세이를 출간하였습니다.

그는 인간의 행동은 제한된 자원의 낭비를 버리고 최대의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희소성의 관계로 보아 연구하였고, 이 이론은 현재 교과서에 있습니다.

경제이론의 구분 및 경제를 보는 시각

경제이론은 미시 경제학, 거시 경제학으로 구분되며 경제를 보는 시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시경제학

미시경제학은 경제를 구성하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행동원리 및 개별시장인 생산물시장과 요소시장에서 가격과 거래량 결정 등이 분석대상입니다.

 

미시경제학은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행위로부터 수요곡선과 요소공급곡선이 도출되는 과정 및 기업의 이윤극대화 행위로부터 공급곡선과 요소수요곡선이 도출되는 과정에 대해서 분석합니다.

생산물 시장에서 재화가격과 생산량 그리고 생산요소시장에서 요소가격과 고용량이 결정되는 과정을 분석합니다.

생산물과 요소시장에서 시장의 가격기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원배분의 효율성 여부를 검토합니다.

또한 외부 효과성과 공공재, 정보의 비대칭성 등이 자원배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부는 어떤 정책을 통해 바람직한 자원배분을 유도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2) 거시 경제학

거시경제학에서는 분석대상은 부문 간 국민경제의 상호관계, 전체 경제의 구조 및 성과 그리고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각종 정부정책 등입니다.

 

거시경제학에서는 전반적 거시 경제변수인 국민소득(GDP), 물가, 고용, 실업 등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경제활동 수준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경기변동과 장기적으로 경제규모가 점차 커지는 경제성장의 요인을 분석합니다.

그리고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각 경제주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봅니다

정부의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거시경제학에서 다루는 중요한 주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