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지식

철학의 개념, 주요분야, 어원, 역사

by Emily h 2024. 3. 27.

철학의 개념

철학은 인간 자체의 존재, 사람의 이성, 사람이 이루려 하는 지식 및 가치와 같은 주제를  보편적이면서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일부 다른 의견으로는 피타고라스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고 주장합니다. 

철학의 근본적인 이론은 주제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의 형태와 비판적 사고로 이루어지며 이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목적으로 합니다. 윤리학, 정치 철학, 심리학, 논리학으로 교차되기도 합니다.

썸네일

철학의 주요분야

철학의 주요 분야는 철학적 학문인 인식론, 윤리학, 논리학, 형이상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외 철학은 종교, 과학, 수학, 역사, 비즈니스, 법률, 저널리즘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와 관련이 있습니다.

 

철학의 어원

철학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사랑하다(필레인)과 지혜(소피아)에서 유래된 말로  『지식을 사랑한다』 또는 『지혜를 친구로 여긴다』 는 의미입니다. 영어의 필로소피(Philosophy)의 어원이기도 합니다.

인간이 깨달음과 지식의 앎 자체를 두려워하지 않고, 지식과 지혜를 사랑하는 것은 모든 학문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마인드와 방법이기도 합니다.

철학의 역사

철학은 역사적으로 물리학, 심리학 등 다양한 개별 과학에서 형성되어 왔으며, 서양, 아라비아 페르시아, 인도, 중국, 그 밖의 철학 등이 철학 역사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1) 서양철학

서양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기원전 6세기 고대 그리스에서 우주 전체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소크라테스(기원전 469 -399), 플라톤(기원전 427-347),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가 서양철학을 형성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철학의 중요인물이며 형이상학, 논리학, 자연과학 등을 포함한 사고체계를 발전시켰습니다.

그들은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와 현실과 마음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에 집중하였습니다. 고대 후기에는 에피쿠로스주의, 스토아주의, 회의주의 등이 나타났습니다.

 

14세기에는 르네상스 시기가 시작되어 플라톤주의와 휴머니즘이 출현했습니다17세기에는 근대가 시작되어 철학, 과학적 지식 창출에 관심을 갖고 이성과 감각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이것은 전통적인 권위에 도전하는 계몽 운동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19세기에는 독일의 이상주의와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포괄적 철학체계를 개발하려도 시도하였습니다.

20세기 철학에는 언어 역할, 형식과 논리의 출현과 응용, 실용주의에 초점을 맞추었고, 실존주의, 현상학, 포스트구조주의 등 대륙철학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학술기관에서는 철학 출판물과 철학자 수에 관심을 갖고 학술 철학이 발전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여성철학자의 수도 급증했지만, 그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2) 이슬람과 이란철학

이슬람과 이란철학은 9세기 초 이슬람 신학전통에 관심이 생겼으며 이는 서기 12세기까지 계속되어 고대 그리스 철학자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이것으로 코란의 가르침을 설명하였습니다.

 

알 킨디(801-873년)는(801-873년) 아라비아 페르시아 철학 중 가장 전통 있는 최초의 철학자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했고, 아리스토텔레스와 네오플라톤주의자의 많은 작품을 번역하고 해석했습니다.

아비센나(980-1037년)는 이슬람 황금시대 아라비아 페르시아 철학자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로 종교, 과학, 신비주의와 현실의 합리적 이해를 포함한 포괄적인 철학체계를 개발했습니다.

알-가잘리(1058-1111년)는 인간의 이성이 현실과 신의 진정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이 강한 철학자입니다. 그는 철학을 코란의 가르침과 신비한 통찰에 더욱 집중하였습니다. 이후에는 철학적 탐구에 관심을 줄어들었고, 뮐러 사드라(1571-1636년)는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입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서양 사상과 제도에 관심이 높아져 이를 통해 이슬람 근대주의에 관계되는 철학이 발전하였습니다.

 

3) 인도철학

인도철학은 현실 본질탐구와 이를 통한 지식과 깨달음의 도달방법 등의 정신적 문제를 통합하는 것입니다.

기원전 900년경은 힌두교의 근본적 경전인 베다가 최초로 쓰인 시기로 인간과 현실과의 관계,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와 과거행동을 통해 영혼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불교나 자이나교 같은 비베다교의 가르침도 출현했습니다.

 

이후 고전기는 기원전 약 200년에 시작하여 힌두교의 전통파인 냐야, 베단타 등 6개 전통파가 출현하였습니다. 1800년에는 근대가 시작되어 서양사상에 집중되었고, 종교와 철학의 포괄적 시스템을 구축하려 했습니다. 이 시기의 철학자 중 스와미 비베카난다(1863-1902 CE)는 많은 철학과 종교적인 가르침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을 했습니다.

 

4) 중국철학

중국철학은 올바른 사회적 행위, 정부, 교육과 관련된 실천적이고 실용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윤리와 사회에 관한 공자의 가르침이 형성되었습니다.

기원전 6세기경에는 시대의 정치적 혼란을 잠재우기 위한 사상파인 유교와 도교가 출현하였습니다.

유교는 공자(기원전 551-479년)에 의해 설립되었고, 다양한 도덕적 미덕에 중점을 두어 사회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습니다.

도교는 라오지(기원전 6세기)에 설립되어 우주 자연질서가 인간과 얼마나 조화롭게 살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유교와 도교의 사상이 외에도 이타적 결과주의를 바탕으로 한 모히즘과 강력한 국가와 법률의 중요성을 강조한 리걸주의가 주장되었습니다.

 

불교는 서기 1세기에 최초로 중국에 전해져서 다양한 형태의 불교로 전파되었습니다.

성리학은 위안 11세기에 발달하여 형이상학적 윤리를 기본으로 유교적 가르침을 좀 더 체계화했습니다.

중국철학은 20세기 초에 서양철학에 영향을 받아 계급투쟁,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되었고, 중국 정치 정세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5) 기타 전통철학

기타 전통철학으로는 일본 전통철학, 라틴 아메리카 철학, 아프리카 철학이 있습니다

 

일본전통 철학은 6~7세기에 토착신도나 중국과 인도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유교와 불교 형태로 유입되었다. 

성리학은 16세기부터 에도 시대에 사상이 전파되었습니다. 

 

식민지 이전 시대의 라틴 아메리타 철학은 1550년부터 시작되어 종교와 인간 철학을 전파했습니다. 포스트 식민지 시대는 긍정주의, 정체성화 문화의 탐구를 추구했습니다.

라틴 아메리카 철학은 원주민 문명을 기초로 현실의 본질과 인간의 역할을 탐구했습니다. 이것은 북미 원주민들이 추구하는 철학과 비슷하고, 세상의 모든 것은 상호 연결성이 있다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초기 아프리카 철학은 20세기 초부터 체계적으로 발전되었으며 조상, 공동체, 도덕의 사상에 초첨을 두었습니다.

민족철학, 문화정체성 역할, 유럽중심주의 비판 등의 주제를 논하고 있습니다.

반응형